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도서주문 서점전용
  • 한국철학자료집: 불교편 3 조선시대의 불교사상
  • 조선시대의 불교사상
  • 철학,심리학,윤리학 > 아시아(동양)철학,사상
  • 심재룡, 고승학, 김정희, 박재현, 박해당, 변희욱, 서정형, 정원재, 조은수 [저] l 초판 2020.12.30
  • 회원리뷰 0
  • 판매가
    48,000
  • 배송비
    0원 (20,000원 이상 배송비 무료)- 주문결재일로부터 3일 이내에 배송됩니다.
    - 기타 산간지방은 다소 늦어질 수 있습니다.
  • 주문수량
바로 구매 관심도서 담기

책소개

상품상세정보
분류 철학,심리학,윤리학 > 아시아(동양)철학,사상
ISBN 9788952129567
초판발행일 2020.12.30
면수/판형 520(쪽) / 46배판[188*257]
조선 초 득통 기화(己和)로부터 조선 말 초의 의순(意恂)에 이르는 총 28인이 남긴 저술의 핵심 부분을 발췌 번역, 조선시대 불교사상을 정리한 불교철학자료집


『한국철학자료집: 불교편 3 ─ 조선시대의 불교사상』은 조선시대에 간행된 한국의 불교문헌 중에서 철학 사상적 가치를 함축하고 있는 저술을 뽑아 번역하고 해제를 붙인 자료집이다. 『한국철학자료집: 불교편 1 ─ 삼국과 통일신라의 불교사상』(2005), 『한국철학자료집: 불교편 2 ─ 고려시대의 불교사상』(2006)과 함께 3부작을 이루게 된다. 이 책은 고 심재룡(沈在龍) 선생님께서 연구책임자가 되어 서울대학교 한국학장기기초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던 연구 과제의 최종 결과물로, 한국불교사의 미개척 분야로 공감하는 조선시대 불교사상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여 향후 연구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조선 초 득통(得通) 기화(己和)로부터 조선 말 초의(艸衣) 의순(意恂)에 이르는 총 28인이 남긴 저술의 핵심 부분을 발췌 번역하였으며, 전체 내용을 시대별, 주제별로 묶어 총 7장으로 나누었다. 자료 각각에 번호를 붙이고 제목, 그리고 간단한 해설을 붙였다. 독자의 편의를 위하여 한문 원문도 함께 실어 국역을 대조할 수 있게 하였다. 자료 속에 등장하는 개념어 또는 그것의 사용 맥락에 대하여 자세한 주석을 부기하였으며, 자료집으로서의 쓰임새를 강화하기 위하여 광범위한 색인도 첨부하였다. 조선시대 불교사상 연구에 입문하는 길잡이 역할을 할 것이다.

저자소개

고승학

저자작품
  • - 한국철학자료집: 불교편 3 조선시대의 불교사상

김정희

저자약력
  •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철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석사.박사.
  • 현재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선임연구원.
  • 번역서로 폴 스완슨의 『천태불교의철학적 토대: 이제론의 중국적 전개』(씨아이알, 2015)가 있다.
저자작품

박재현

저자약력
  • 경희대학교 무역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석.박사. 현재 동명대학교 禪명상치유학과 교수.
저자작품

박해당

저자약력
  •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석.박사.
  • 임창순 선생님의 태동고전연구소 지곡서당에서 3년의 한문연수과정을 마친 뒤 월운스님의 봉선사 불경서당에서
  • 1년 동안 공부하였다. 서울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대학에서 강의하였고,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과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불교한문아카데미에서
  • 불교한문 강좌를 담당하는 한편, 현재 구화불교한문연구소 소장으로 구화서당에서 불교한문을 가르치고 있다.
저자작품

변희욱

저자약력
  • 서울대학교 치의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석.박사.
  • 현재 조계종 수좌회 禪연구원 책임연구원. 『간화선 수행의 성찰과 과제』(조계종출판사, 2007),
저자작품

서정형

저자약력
  • 서울대학교 철학과 졸업.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중국 화엄철학의 형성에 관한 연구』로
  • 박사학위 취득. 현재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선임연구원.
  • 서울대학교 철학과 강사로 불교철학을 강의하였고(2007-2015), 별책 『밀린다팡하』(철학사상연구소, 2003),
저자작품

심재룡

저자약력
  • 서울대학교 철학과 졸업. University of Hawaii 석.박사.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역임.
  • 2004년 10월 별세. 저서로 『지눌연구』(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동양의 지혜와 禪』(세계사, 1990),
  • Korean Buddhism: Tradition and Transformation(Jimoondang, 1999) 등이 있으며,
  • 역서로 『있는 그대로의 자유』(세계사, 1991),
  • 『달라이 라마 자서전: 유배된 자유를 넘어서』(정신세계사, 2003) 등이 있다.
  • 박사학위논문인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Korean Zen (Sŏn) Buddhism:
  • The Integration of Sŏn and Kyo by Pojo Chinul (1158-1210)”
저자작품

정원재

저자작품
  • - 한국철학자료집: 불교편 3 조선시대의 불교사상

조은수

저자작품
  • - 한국철학자료집: 불교편 3 조선시대의 불교사상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 제1장 | 조선시대의 불교사상

1. 개괄
2. 조선 전기 불교
3. 조선 후기 불교


| 제2장 |조선 전기의 선사상과 삼교론

1. 기화(己和)
2. 『유석질의론(儒釋質疑論)』
3. 지은(智誾)
4. 김시습(金時習)
5. 보우(普雨)


| 제3장 | 조선 선문의 정통성 형성과 전개

1. 휴정(休靜)
2. 선수(善修)
3. 일선(一禪)
4. 유정(惟政)
5. 경헌(敬軒)
6. 법견(法堅)
7. 태능(太能)
8. 편양(鞭羊)


| 제4장 |의궤(儀軌)의 정립을 위한 노력

1. 각성(覺性)
2. 진일(眞一)


| 제5장 |선문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노력

1. 취미(翠微)
2. 성총(性聰)
3. 책헌(策憲)
4. 자수(子秀)
5. 수연(秀演)
6. 해원(海源)
7. 비은(費隱)


| 제6장 |폐불정책에 대한 선문의 대응과 유교화

1. 처능(處能)
2. 유일(有一)
3. 혜장(惠藏)
4. 의첨(義沾)
5. 대지(大智)


| 제7장 |조선 후기의 선이론 논쟁과 발전

1. 긍선(亘璇)
2. 의순(意恂)



참고문헌
찾아보기
Abstract
발간사

기타안내

교환/반품/품절안내
배송안내 - 주문결재일로부터 3일 이내에 배송됩니다.
- 기타 도서, 산간지방은 다소 늦어질 수 있습니다.
반품/교환 - 마이페이지 >주문조회 에서 반품 / 교환 신청을 하시거나 고객센터 1:1 게시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반품/교환 불가 사유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상품 품절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REVIEW
도서 구입문의

02-889-4424

평일: 오전 09:00 ~ 오후 06:00
점심: 오후 12:00 ~ 오후 01:00
무통장 입금정보

079-01-342071

농협
예금주: 서울대출판문화원